티스토리 뷰
1. 최초의 우정
학령전기 아동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정서적·사회적 발달을 위한 중요한 맥락이 되는 최초의 우정을 형성한다. 성인에게 우정은 동료애, 나눔, 생각과 느낌의 이해받기, 상대방이 어려울 때 염려해주는 상호적인 관계이다. 게다가 성숙한 우정은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으며 갈등이 있어도 지속된다.
학령전기 아동은 우정의 독특함에 대해 무엇인가를 이해하고 있다. 그들은 친구를 '내가 좋아하는' 그리고 가장 많은 시간 동안 함께 노는 어떤 사람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우정에 대한 그들의 생각은 아직 성숙되지 않았다. 4~7세 아동은 우정을 즐거운 놀이, 졸잇감을 나눠 갖는 것 정도로 여긴다. 아직 그들에게 우정이란 상호 신뢰에 기초하여 변하지 않는 무엇인가는 아니다. 실제로 새미는 친구와 사이좋게 지낸 날은 "마크는 나의 가장 친한 친구야"라고 말하지만, 말다툼을 한 날에는 "마크, 너는 내 친구가 아니야"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린 친구들 간의 상호작용은 아주 독특한다. 학령전기 아동은 인사, 칭찬, 순종과 같은 강화를 그들이 친구라고 여기는 아동과 서로 주고받기도 한다. 친구들은 다른 사람에게보다는 서로에게 더 많이 정서적으로 표현하고 말하고 웃고 바라본다. 게다가 아동 초기의 우정은 사회적 지지를 제공한다. 친구들과 함께 유치원 생활을 했거나 새로운 친구를 쉽게 사귀었던 아동은 더욱 순조롭게 학교에 적응한다. 아동은 우정을 통해 학업적·사회적 유능감을 촉진시키는 방식으로 자신을 학습 환경에 통합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2. 초기 또래 관계에 대한 부모의 영향
아동은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기술을 가정에서 처음으로 획득한다. 부모는 아동의 또래 관계에 영향을 미치려는 시도를 통해 직접적으로, 양육 행동과 놀이 행동을 통해 간접적으로 아동의 또래 사회성에 영향을 미친다.
1) 직접적인 부모의 영향
비형식적인 또래 놀이 활동의 기회를 자주 제공해 주는 부모의 학령전기 아동은 보다 넓은 또래 네트워크를 가지며, 사회적으로 더 능숙하다. 부모는 놀이 기회를 제공하면서 자녀에게 또래와의 접촉을 시작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그리고 놀이 그룹에 참여하고 갈등을 다루는 방법에 대한 부모의 능숙한 지도는 학령전기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또래 수용과 관련이 있다.
2) 간접적인 부모의 영향
부모의 다양한 양육 행동이 또래 사회성 촉진을 직접적인 목표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결과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가령, 부모와의 안정 애착은 학령전기부터 학령기의 반응적이고 조화로운 또래 관계, 넓은 또래 네트워크, 따뜻하고 지지적인 우정과 관련된다. 애착 안전감에 기여하는 민감성과 정서적으로 표현적인 의사소통은 중요한다. 몇몇 연구에서 아동에게 많이 관여하고 정서적으로 긍정적인 부모-자녀 간의 대화와 놀이가 학령전기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과 긍정적 또래 관계를 예언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나아가 부모의 관여가 많고 정서적으로 긍정적이고 협동적인 부모-자녀 간 놀이는 아동의 사회적 기술, 또래 수용과 관련이 있다. 엄마의 놀이는 딸의 사회적 유능감과 더 밀접하게 관련되며 아빠의 놀이는 아들의 사회적 유능감과 더 밀접하게 관련되는데 이는 아마도 부모가 자신과 같은 성별의 자녀와 놀이를 더 많이 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초기아동의 또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는 우정과 또래와의 관계형성에 부모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개인적인 경험을 통해 학령전기 아동 간에도 우정과 같은 형태의 관계가 형성된다는 것과 부모의 영향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렇지만 이렇게 이론적 자료를 통해 이를 다시 확인해보면서 역시 부모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이 절대적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초기 아동에게 세상이란 부모가 보여주는 세상이 전부가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든다. 모든 아동들의 세상이 안전하고 행복하길 바라면서 이번 포스팅은 마치겠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많은 부모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초기 아동기(2~6세)의 양육과 정서 및 사회적 발달에 관련된 이론적 내용을 포스팅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