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1. 인지 발달

(1) 피아제의 이론: 전조작기

아동이 감각운동기에서 2~7세의 기간을 포함하는 전조작기로 이동할 때 아동에게 가장 명백하게 나타나는 변화는 표상적 혹은 상징적 활동의 현저한 증가이다. 영아와 걸음마기 아동이 세상에 대해 약간의 표상능력만을 가지는 한편, 초기 아동기 동안 이러한 능력은 엄청난 발전을 보인다.

 

- 정신적 표상

피아제는 언어가 정신 표상의 가장 탄력적인 수단이라 생각했다. 행동과 분리된 사고로서 언어는 이전에 가능했던 것보다 더욱 융통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한다. 우리가 말로 생각할 때 우리는 순간적 경험의 한계를 극복한다. 우리는 배고픈 애벌레가 바나나를 먹거나 괴물이 밤에 숲 속을 날아다니는 것에 대해 생각할 때 과거, 현재, 미래를 동시에 다룰 수 있고 개념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언어의 힘에도 불구하고 피아제는 언어를 아동기 인지 변화의 일차적 요소로 여기지 않았다. 즉 그는 감각운동 활동이 이후에 말로 표현되는 경험의 내적 표상으로 이끈다고 믿었다. 걸음마기 아동이 사용하는 첫 단어가 강한 감각운동적 기초를 갖는다는 것은 피아제의 이러한 관점을 지지한다. 게다가 걸음마기 아동들은 그것을 명명하는 단어를 사용하기 훨씬 이전에 상당한 범위의 범주를 획득한다. 하지만 우리가 앞으로 다루게 될 다른 이론가들은 언어와 사고 간 연결에 대한 피아제의 설명을 불완전한 것으로 여긴다. 

 

- 가장 놀이

가장 놀이는 초기 아동기 표상 발달의 훌륭한 예 중 하나이다. 피아제는 가장을 통해 어린 아동이 새로 획득한 표상적 도식을 연습하고 강화한다고 생각했다. 최근 연구자들은 가장 활동을 표상적 도식의 단순 연습으로만 보는 피아제의 관점이 너무 제한된 것이라고 여긴다. 놀이는 아동의 인지적 기술과 사회적 기술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이들을 촉진한다. 함께 그림을 그리거나 퍼즐을 푸는 것 같은 비가장적인 사회적 놀이와 비교했을 때, 역할 놀이와 같은 사회적 가장 놀이 동안에 학령전기 아동의 상호작용은 보다 길고 참여적이며, 많은 아동들이 참여하고 협력적이다.

 따라서 역할 놀이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학령전기 아동이 선생님에게 보다 사회적으로 유능하게 보이는 건 놀랄 일이 아니다. 그리고 많은 연구들은 가장 행동이 주의, 기억, 논리적 추론, 언어와 문해력, 상상력, 창조력, 자기 생각에 대해 숙고하고,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고, 다른 사람의 관점을 조망하는 능력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신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것을 밝혔다.

 

- 상징·현실세계의 관계

가장 놀이를 하며 그림을 그리기 위해서 또는 사진, 모형, 지도와 같은 표상의 다른 형태를 이해하기 위해서 학령전기 아동들은 각각의 상징이 일상생활 사건의 특정한 상태에 상응하는지를 인식해야 한다. 그렇다면 아동들은 언제부터 상징·현실세계의 관계를 이해할까?

 한 연구에서 2세반과 3세 아동에게 다른 사람이 방의 축소 모형 안에 작은 장난감을 숨기는 것을 보여 준 후 그것을 찾아보라고 요청하였다. 다음에 그들은 축소 모형이 표상하는 실제 방에 숨겨진 큰 장난감을 찾아야 했다. 3세가 될 때까지 대부분의 아동들은 실제 방에서 큰 장난감을 찾기 위한 안내자로서 모형 방을 사용하지 못했다. 2세반의 아동들은 모형 장난감 방이 모형 장난감이면서 동시에 다른 방의 상징도 된다는 것을 깨닫지 못했다. 그들은 상징적 대상을 본래의 대상과 다른 대상의 상징의 두 가지로 여기는 이중표상을 갖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연구자들이 모형 방을 창문 뒤에 놓고 만지지 못하게 함으로써 모형 방이 실제 대상으로서 갖는 특성을 줄여 주었을 때 보다 많은 2세반 아동들이 앞의 탐색 과제에서 성공한 것은 디러한 설명을 지지한다. 

 1세 반에서 2세 아동이 다른 대상(모자)을 상징하기 위해 명백한 사용양식을 가진 다른 대상(컵)을 사용할 수 없었던 것과 같은 초기 가장의 제한점을 상기해보면, 마찬가지로 2세 아동들은 그것 자체가 하나의 대상인 것이 실제 세계의 다른 대상을 표상한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

 아동들은 상징적 대상의 이중표상을 어떻게 이해하게 될까? 성인이 모형과 현실세계 공간 사이의 유사성을 지적했을 때, 2세반 아동들은 탐색 과제를 더 잘 수행했다. 또한 상징·현실세계 관계에 대한 한 가지 통찰은 다른 관계에 대한 숙달을 촉진하였다. 예를 들어 아동들은 사진은 그 자체로 흥미로운 대상이기보다는 일차적 목적이 무언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므로 1세 반에서 2세경의 어린 아동들도 상징으로서 사진을 간주할 수 있다. 즉 요약하면 사진, 그림책, 가장놀이, 지도와 같은 다양한 상징의 경험은 학령전기 아동들이 한 대상이 다른 대상을 의미한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돕는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