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권위적 양육 양육의 가장 성공적인 접근법인 권위적인 양육 유형은 높은 수용과 관여, 적응적인 통제 기술, 그리고 적절한 자율성 부여와 관련이 있다. 권위적인 부모는 따뜻하고, 세심하며, 아동의 요구에 민감하다. 그들은 즐겁고, 자녀를 친밀한 관계로 이끄는 정서적으로 풍부한 부모-자녀 관계를 형성한다. 동시에 권위적인 부모는 단호하고 합리적인 통제로 아동을 훈련시킨다. 그들은 성숙한 행동을 강조하고 이러한 기대에 대한 이유를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권위적인 부모는 점차 적절한 자율성을 부여하여 자녀가 준비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스스로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아동기와 청소년기 전반에 걸쳐 권위적인 양육은 분위기 상승, 자기 통제감, 과제 지속, 협동성, 높은 자기존중감, 사회적·도덕적 성숙, 학교에서..

1. 최초의 우정 학령전기 아동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정서적·사회적 발달을 위한 중요한 맥락이 되는 최초의 우정을 형성한다. 성인에게 우정은 동료애, 나눔, 생각과 느낌의 이해받기, 상대방이 어려울 때 염려해주는 상호적인 관계이다. 게다가 성숙한 우정은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으며 갈등이 있어도 지속된다. 학령전기 아동은 우정의 독특함에 대해 무엇인가를 이해하고 있다. 그들은 친구를 '내가 좋아하는' 그리고 가장 많은 시간 동안 함께 노는 어떤 사람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우정에 대한 그들의 생각은 아직 성숙되지 않았다. 4~7세 아동은 우정을 즐거운 놀이, 졸잇감을 나눠 갖는 것 정도로 여긴다. 아직 그들에게 우정이란 상호 신뢰에 기초하여 변하지 않는 무엇인가는 아니다. 실제로 새미는 친구와 사이좋게 ..

정서발달 표상, 언어, 자기개념의 획득은 아동 초기의 정서 발달을 촉진한다. 아동은 연구자들이 공통적으로 정서적 유능감이라 언급하는 정서적 능력을 2~6세 사이에 다음과 같이 발달시킨다. 첫째, 학령전기 아동은 정서적 이해가 가능해진다. 그 결과 이들은 감정에 대해 더 잘 이야기할 수 있게 되고, 타인의 정서적 신호에 더 적절하게 반응할 수 있다. 둘째, 이들은 정서적 자기 조절, 특히 강렬한 부정적 정서에 대처하는 것에 유능해진다. 마지막으로, 학령전기 아동은 자의식적 정서와 공감을 더 자주 경험하게 되고 이것은 도덕성을 발달에도 기여한다. 양육은 학령전기 아동의 정서적 유능감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며, 다시 정서적 유능감은 성공적인 또래 관계와 전반적인 정신건강에 있어서 결정적 역할을 한다. 1. 정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