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휘, 문법, 화용론은 아동기 이전처럼 눈에 띄지는 않지만 계속 발달한다. 게다가 학령기 아동들의 언어에 대한 태도도 근본적으로 변하여 언어인식이 발달한다. 학교교육은 언어능력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읽기를 배우는 과정에서 아동들은 언어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한다. 그리고 잘 읽는 것이 언어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중요한 요소로 등장한다. 1. 어휘 초등 학령기에는 어휘가 4배 증가하여 마지막에는 4만 단어가 넘는다. 아동들은 평균적으로 하루 20개의 단어를 새로 배우는데 이는 아동기 초기의 성장속도를 능가한다. '행복한'과 '결정하다'라는 단어에서 아동들은 '행복'과 '결정'이라는 명사의 의미를 재빠르게 알아챈다. 그들은 또한 많ㅇ느 단어들의 의미를 문맥으로부터 파악한다. 초기 단계에서처럼 아동들은..

1. 지능의 정의와 측정 거의 모든 지능검사는 전체 점수(IQ)와 더불어 특정 정신능력의 점수를 제공한다. 지능은 여러 능력으로 구성되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검사들은 이 능력을 모두 다루지 않는다. 검사 제작자는 지능검사가 측정하는 여러 가지 능력들을 밝히기 위해 요인분석이라는 복잡한 통계적 기법을 사용한다. 이 기법에서는 검사의 어떤 문항들이 같이 묶이는지를 밝히는데, 즉 어떤 아동이 같은 무리에 속하는 한 문항에서 잘했다면 그 무리에 속하는 다른 문항에서도 잘해야 한다. 이와 같이 서로 구분되는 무리를 '요인'이라고 부르는데 각 요인은 하나의 능력을 나타낸다. 학급에서 실시하는 지능검사는 집단검사이다. 집단검사는 많은 학생들에게 동시에 실시할 수 있고 교육내용을 계획하고, 개인검사로 좀 더 정밀하게..

1. 지식기반과 기억수행 아동기 중기에 지식기반이 성장하여 점점 더 정교하고 위계적으로 구조화된 네크워크로 조직화된다. 이렇게 지식이 급격하게 발달함으로써 아동들은 책략을 사용하고 기억하게 된다. 다른 말로 하면 어떤 주제에 대해 더 ㅁ낳이 알면 새로운 정보가 더 의미있고 친숙해지기 때문에 정보를 더 쉽게 저장하고 인출하게 된다. 이 아이디어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4학년생들을 축구 전문가와 비전문가로 구분하고 두 집단에게 축구와 관련된 항목들과 관련되지 않은 항목들을 학습하게 하였다. 전문가들이 축구와 관련된 항목들을 비전문가보다 더 많이 기억하였다.그리고 회상하는 동안 범주별 항목들의 수로 평가했을 때 전문가들이 기억한 항목들이 더 조직화되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식이 아주 많은 아동들은 자기..

정보처리 피아제가 전반적인 인지적 변화에 관심을 두었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정보처리 관점에서는 사고의 여러 측면에 관심을 둔다. 주의와 기억은 모든 인지 활동의 기초로서 영아기와 학령전기과 마찬가지로 아동기 중기의 주요 관심사이다. 또한 학령기 아동들이 정보를 어떻게 처리하는가를 점점 더 잘 이해함으로써 그들의 학교 학습, 특히 읽기와 산수를 잘 이해할 수 있다. 연구자들은 뇌 발달로 인해 사고의 여러 측면을 돕는 정보처리 과정에 근본적 변화가 일어난다고 믿는다. 1. 주의 아동기 중기에 주의는 더 선택적이고, 적응적이고, 계획적이게 된다. 첫째, 아동들은 상황의 여러 측면 가운데 목표와 관련이 있는 측면에만 주의를 기울일 수 있게 된다. 연구자들은 과제에 불필요한 정보를 포함시킨 다음 아동들이 중요한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