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래관계 아동의 자기 인식이 보다 정확해지고 타인의 사고와 감정을 이해하고 소통하는 데 능숙해지는 만큼 또래와의 상호작용 기술 또한 향상된다. 또래는 어린 아동들이 다른 방식으로는 얻을 수 없는 학습 경험을 제공한다. 또래들은 같은 수준과 속도로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이들은 계속해서 대화를 이어 가고, 협동하며, 목표를 설정하는 것에 참여해야 한다. 아동은 또래와 함께 애착과 공동의 관심으로 특징지어지는 특별한 관계, 즉 우정을 형성한다. 또래 관계가 어떻게 학령전기에 걸쳐 변화되는지 살펴보자. 1. 또래 사회성의 향상 2~5세 아동의 또래 사회성을 최초로 연구한 사람 중 하나인 밀드레드 파튼은 상호작용 놀이의 참여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급격히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 그녀는 사회적 발달이 3단계 절차를 거쳐..

정서발달 1. 자의식적 정서 [사례로 알아보기] 어느 날 아침, 레즐리 선생님 교실에서는 아이들이 빵굽기 활동을 하기 위해 무리를 지어 앉아 있었다. 렞르리 선생님은 아이들에게 빵 굽는 팬을 가져올 동안 얌전히 기다리라고 말했다. 하지만 새미가 반죽을 만지려고 팔을 뻗자 큰 그릇이 탁자에서 굴러 떨어졌다. 레즐리 선생님이 돌아왔을 때 새미는 선생님을 쳐다보며 손으로 눈을 가리고 "내가 나쁜 짓을 했어요."라고 말했따. 새미는 부끄러웠고 죄의식을 느꼈다. 아동의 자기 개념이 점차 발달하면서 그들은 자기에 대한 느낌을 손상시키거나 고양시키는 것과 관련된 '자의식적 정서'를 자주 경험하게 된다. 3세경, 자의식적 정서는 자기 평가와 분명하게 관련된다. 하지만 학령전기 아동은 우수함과 수행에 대한 기준이 아직 ..

정서발달 표상, 언어, 자기개념의 획득은 아동 초기의 정서 발달을 촉진한다. 아동은 연구자들이 공통적으로 정서적 유능감이라 언급하는 정서적 능력을 2~6세 사이에 다음과 같이 발달시킨다. 첫째, 학령전기 아동은 정서적 이해가 가능해진다. 그 결과 이들은 감정에 대해 더 잘 이야기할 수 있게 되고, 타인의 정서적 신호에 더 적절하게 반응할 수 있다. 둘째, 이들은 정서적 자기 조절, 특히 강렬한 부정적 정서에 대처하는 것에 유능해진다. 마지막으로, 학령전기 아동은 자의식적 정서와 공감을 더 자주 경험하게 되고 이것은 도덕성을 발달에도 기여한다. 양육은 학령전기 아동의 정서적 유능감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며, 다시 정서적 유능감은 성공적인 또래 관계와 전반적인 정신건강에 있어서 결정적 역할을 한다. 1. 정서..

1. 에릭슨의 이론: 주도성 대 죄의식 에릭슨은 아동 초기를 '왕성한 전개의 시기' 라고 기술했다. 즉 아동들이 일단 자율성을 획득하면, 제멋대로 하는 행동은 걸음마기 때보다 줄어든다. 그들의 에너지는 학령전기 심리적 갈등을 다루는 데 사용된다. 주도성이라는 단어가 암시하는 것처럼, 어린 아동은 목적성이라는 새로운 감각이 생긴다. 그들은 새로운 과제에 도전하고, 또래와의 활동에 참여하며, 어른을 돕기 위해 그들이 할 수 있는 것이 무언인지를 발견하기 위해 애쓴다. 그들은 또한 양심의 발달에도 한 걸음 들어선다. 에릭슨은 놀이를 어린 아동이 자신과 사회적 세계에 대해 배우는 수단이라고 보았다. 놀이는 학령전기 아동이 비판과 실패에 대해 걱정하지 않으면서 새로운 기술을 시험해볼 수 있도록 해 준다. 놀이는 ..